국어원은 지난 22일 국어심의회 전체 회의를 열어 새 표준어 대상을 확정했다.
▲현재 표준어와 같은 뜻으로 추가로 표준어로 인정한 경우(11개)
▲현재 표준어와 같은 뜻으로 추가로 표준어로 인정한 경우(11개)
┌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┬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┐ │ 추가된 표준어 │ 현재 표준어 │ ├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┼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┤ │ 간지럽히다 │ 간질이다 │ ├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┼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┤ │ 남사스럽다 │ 남우세스럽다 │ ├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┼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┤ │ 등물 │ 목물 │ ├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┼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┤ │ 맨날 │ 만날 │ ├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┼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┤ │ 묫자리 │ 묏자리 │ ├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┼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┤ │ 복숭아뼈 │ 복사뼈 │ ├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┼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┤ │ 세간살이 │ 세간 │ ├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┼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┤ │ 쌉싸름하다 │ 쌉싸래하다 │ ├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┼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┤ │ 토란대 │ 고운대 │ ├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┼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┤ │ 허접쓰레기 │ 허섭스레기 │ ├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┼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┤ │ 흙담 │ 토담 │ └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┴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┘ ▲현재 표준어와 별도의 표준어로 추가로 인정한 경우(25개) ┌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┬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┬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┐ │ 추가된 표준어 │ 현재 표준어 │ 뜻 차이 │ ├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┼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┼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┤ │ ~길래 │ ~기에 │~길래: ‘~기에’의 구 │ │ │ │ 어적 표현. │ ├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┼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┼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┤ │ 개발새발 │ 괴발개발 │‘괴발개발’은 ‘고양 │ │ │ │이의 발과 개의 발’이 │ │ │ │라는 뜻이고, ‘개발새 │ │ │ │발’은 ‘개의 발과 새 │ │ │ │ 의 발’이라는 뜻임. │ ├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┼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┼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┤ │ 나래 │ 날개 │‘나래’는 ‘날개’의 │ │ │ │ 문학적 표현. │ ├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┼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┼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┤ │ 내음 │ 냄새 │‘내음’은 향기롭거나 │ │ │ │나쁘지 않은 냄새로 제 │ │ │ │ 한됨. │ ├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┼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┼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┤ │ 눈꼬리 │ 눈초리 │ㆍ눈초리: 어떤 대상을 │ │ │ │바라볼 때 눈에 나타나 │ │ │ │는 표정. 예) ’매서운 │ │ │ │ 눈초리’ │ │ │ │ㆍ눈꼬리: 눈의 귀 쪽으│ │ │ │ 로 째진 부분. │ ├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┼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┼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┤ │ 떨구다 │ 떨어뜨리다 │‘떨구다’에 ‘시선을 │ │ │ │아래로 향하다’라는 뜻│ │ │ │ 있음. │ ├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┼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┼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┤ │ 뜨락 │ 뜰 │‘뜨락’에는 추상적 공│ │ │ │간을 비유하는 뜻이 있 │ │ │ │ 음. │ ├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┼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┼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┤ │ 먹거리 │ 먹을거리 │먹거리: 사람이 살아가 │ │ │ │기 위하여 먹는 음식을 │ │ │ │ 통틀어 이름. │ ├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┼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┼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┤ │ 메꾸다 │ 메우다 │‘메꾸다’에 ‘무료한 │ │ │ │시간을 적당히 또는 그 │ │ │ │ 럭저럭 흘러가게 하 │ │ │ │ 다.’라는 뜻이 있음 │ ├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┼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┼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┤ │ 손주 │ 손자(孫子) │ ㆍ손자: 아들의 아들. │ │ │ │ 또는 딸의 아들. │ │ │ │ㆍ손주: 손자와 손녀를 │ │ │ │ 아울러 이르는 말. │ ├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┼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┼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┤ │ 어리숙하다 │ 어수룩하다 │‘어수룩하다’는 ‘순 │ │ │ │ 박함/순진함’의 뜻이 │ │ │ │강한 반면에, ‘어리숙 │ │ │ │ 하다’는 ‘어리석 │ │ │ │ 음’의 뜻이 강함. │ ├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┼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┼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┤ │ 연신 │ 연방 │‘연신’이 반복성을 강│ │ │ │ 조한다면, ‘연방’은 │ │ │ │ 연속성을 강조. │ ├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┼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┼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┤ │ 휭하니 │ 힁허케 │ 힁허케: ‘휭하니’의 │ │ │ │ 예스러운 표현. │ ├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┼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┼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┤ │ 걸리적거리다 │ 거치적거리다 │자음 또는 모음의 차이 │ │ │ │로 인한 어감 및 뜻 차 │ │ │ │ 이 존재 │ ├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┼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┼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┤ │ 끄적거리다 │ 끼적거리다 │ 〃 │ ├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┼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┼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┤ │ 두리뭉실하다 │ 두루뭉술하다 │ 〃 │ ├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┼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┼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┤ │ 맨숭맨숭/ │ 맨송맨송 │ 〃 │ │ 맹숭맹숭 │ │ │ ├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┼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┼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┤ │ 바둥바둥 │ 바동바동 │ 〃 │ ├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┼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┼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┤ │ 새초롬하다 │ 새치름하다 │ 〃 │ ├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┼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┼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┤ │ 아웅다웅 │ 아옹다옹 │ 〃 │ ├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┼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┼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┤ │ 야멸차다 │ 야멸치다 │ 〃 │ ├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┼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┼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┤ │ 오손도손 │ 오순도순 │ 〃 │ ├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┼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┼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┤ │ 찌뿌둥하다 │ 찌뿌듯하다 │ 〃 │ ├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┼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┼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┤ │ 추근거리다 │ 치근거리다 │ 〃 │ └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┴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┴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┘ ▲두 가지 표기를 모두 표준어로 인정한 경우(3개) ┌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┬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┐ │ 추가된 표준어 │ 현재 표준어 │ ├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┼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┤ │ 택견 │ 태껸 │ ├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┼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┤ │ 품새 │ 품세 │ ├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┼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┤ │ 짜장면 │ 자장면 │ └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┴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┘
원래 자주 쓰던 말들이 다 표준어가 아니라 방언에 속해있었다.
언어의 사회성이라고 하던가. 언어와 사회는 상호작용하는 것이고, 언어의 규칙 또한
사회의 쓰임새에 따라 변하는 것이 맞는가 보다.
'좋은 글(Scrap)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다음카카오 패스 인수 / 다음카카오 주가 (0) | 2015.05.29 |
---|---|
두발 자유화 찬성 vs 반대 (1) | 2011.09.07 |
박원순, “1년만 파면 직업을 가질 수 있다” (0) | 2011.08.29 |
상생의 정신이 실종된 사회 / 이준구 (0) | 2011.08.19 |
[6·25 전쟁, 1128일의 기억] (261) 박명림 연세대 교수 특별 기고 (0) | 2011.08.14 |